나노보다 정밀한 장인 손길 ‘빛 보다’
지름 2m 광학거울 국산화 비결은
‘정밀측정기’ 토대 우주광학연구단 국내 첫개발
이윤우 단장 “오차 줄이기, 슈퍼컴퓨터도 불가능”
단짝 이재협 엔지니어 “거울 하나에 몇달 걸려”
“아무리 기계가 발달해도 첨단 광학망원경의 제작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는 없어요. 나노미터의 오차를 잡는 마무리 작업은 반드시 사람의 손길을 거쳐야 합니다. 그래서 지름 2m짜리 광학거울을 깎으려면 1년 가까이 걸리죠.”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이윤우 우주광학연구단장은 지난 13일 국내 처음으로 개발한 지름 2m짜리 대형 광학망원경 제작 시스템을 보여주며 “과학의 초정밀 측정과 장인의 세심한 다듬기야말로 고해상도 광학망원경의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선뜻 알기 힘든 말이다. 이미 투과전자현미경이나 방사광가속기 같은 첨단 장비들이 나노미터(㎚·10억분의 1m)까지 측정하는 시대에, 또 나노 반도체까지 척척 만들어내는 시대에, 사람 눈이 미치지도 못하는 나노 정밀도의 광학망원경을 기계와 컴퓨터가 아닌 사람 손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니 듣기 좋으라 한 말 같아 몇 차례 더 그 뜻을 물어야 했다.
“반도체에선 몇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면적에다 나노미터의 정밀도로 구조물을 제작하지요. 하지만 우리가 하는 작업은 수백만㎟ 규모입니다. 나노미터의 눈으로 보면 ‘망망대해’와 같아요. 지름 1~2m의 ‘엄청난’ 면적 전체에서 몇 나노미터의 오차를 측정하고 이를 자동기계로 깎으려면 슈퍼컴퓨터가 있다 해도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든 우주 광학거울을 깎을 땐 장인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한다. 지름 2.4m짜리 허블망원경도 마찬가지다...
나노보다 정밀한 장인 손길 ‘빛 보다’
‘정밀측정기’ 토대 우주광학연구단 국내 첫개발
이윤우 단장 “오차 줄이기, 슈퍼컴퓨터도 불가능”
단짝 이재협 엔지니어 “거울 하나에 몇달 걸려”
“아무리 기계가 발달해도 첨단 광학망원경의 제작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는 없어요. 나노미터의 오차를 잡는 마무리 작업은 반드시 사람의 손길을 거쳐야 합니다. 그래서 지름 2m짜리 광학거울을 깎으려면 1년 가까이 걸리죠.”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이윤우 우주광학연구단장은 지난 13일 국내 처음으로 개발한 지름 2m짜리 대형 광학망원경 제작 시스템을 보여주며 “과학의 초정밀 측정과 장인의 세심한 다듬기야말로 고해상도 광학망원경의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선뜻 알기 힘든 말이다. 이미 투과전자현미경이나 방사광가속기 같은 첨단 장비들이 나노미터(㎚·10억분의 1m)까지 측정하는 시대에, 또 나노 반도체까지 척척 만들어내는 시대에, 사람 눈이 미치지도 못하는 나노 정밀도의 광학망원경을 기계와 컴퓨터가 아닌 사람 손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니 듣기 좋으라 한 말 같아 몇 차례 더 그 뜻을 물어야 했다.
“반도체에선 몇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면적에다 나노미터의 정밀도로 구조물을 제작하지요. 하지만 우리가 하는 작업은 수백만㎟ 규모입니다. 나노미터의 눈으로 보면 ‘망망대해’와 같아요. 지름 1~2m의 ‘엄청난’ 면적 전체에서 몇 나노미터의 오차를 측정하고 이를 자동기계로 깎으려면 슈퍼컴퓨터가 있다 해도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든 우주 광학거울을 깎을 땐 장인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한다. 지름 2.4m짜리 허블망원경도 마찬가지다...
나노보다 정밀한 장인 손길 ‘빛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