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살 경험 평생 건강 좌우
이게 말이 되는 소린가? =.=
통계 수치일 뿐, 실제로는 무의미한 숫자는 아닐까?
-------------------
젖 일찍 떼면 알코올 중독
생후 첫 여름 뜨거우면 고혈압 ‘위험’
젖을 일찍 떼면 아이가 어른이 된 후 알코올 중독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의 홀저 소렌손 박사팀은 1959년부터 1961년 사이에 태어난 남성 3245명과 여성 3317명을 대상으로 1999년까지 알코올 중독 관련 진단 병력을 추적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들 조사 대상은 34%가 한 달 이하의 모유 수유를 받았지만 추적 조사 결과 알코올 중독 병력이 있던 138명 중에서는 63명이 한 달 만에 모유 수유가 중단된 반면 그 이상 모유를 수유받은 사람은 75명이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모유 수유를 조기에 중단하는 데 따른 알코올 중독 위험성 증가 비율이 65%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적자생존’ 현상의 일종
한편 생후 첫 여름이 뜨겁고 건조하면 나중에 성인이 되었을 때 고혈압이 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의 데비 로울로 박사는 미국의 의학전문지 역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생후 첫 해 여름이 무더우면 이로 인한 탈수로 나트륨 저류(retention)가 과다해져 평생 염분이 많은 음식 맛에 길들여지면서 고혈압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로울로 박사는 이는 심한 탈수에 대비해 나트륨과 물을 보존하려는 일종의 자연도태(적자생존) 현상이지만 현대 사회생활에서는 환경 조건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나트륨 저류가 오히려 혈압 상승 같은 부작용을 낳게 된다고 말했다.
로울로 박사는 20세기 초에 태어난 영국인 여성 39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분석 결과 출생 첫 해에 가장 뜨겁고 건조한 여름을 겪었던 사람은 비교적 서늘하고 비가 많은 여름을 지낸 사람에 비해 설사와 탈수를 겪었을 가능성이 높고 나중 성인이 되었을 때 고혈압 환자가 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06-04-25
http://www.metroseoul.co.kr/
통계 수치일 뿐, 실제로는 무의미한 숫자는 아닐까?
-------------------
젖 일찍 떼면 알코올 중독
생후 첫 여름 뜨거우면 고혈압 ‘위험’
젖을 일찍 떼면 아이가 어른이 된 후 알코올 중독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의 홀저 소렌손 박사팀은 1959년부터 1961년 사이에 태어난 남성 3245명과 여성 3317명을 대상으로 1999년까지 알코올 중독 관련 진단 병력을 추적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들 조사 대상은 34%가 한 달 이하의 모유 수유를 받았지만 추적 조사 결과 알코올 중독 병력이 있던 138명 중에서는 63명이 한 달 만에 모유 수유가 중단된 반면 그 이상 모유를 수유받은 사람은 75명이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모유 수유를 조기에 중단하는 데 따른 알코올 중독 위험성 증가 비율이 65%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적자생존’ 현상의 일종
한편 생후 첫 여름이 뜨겁고 건조하면 나중에 성인이 되었을 때 고혈압이 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의 데비 로울로 박사는 미국의 의학전문지 역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생후 첫 해 여름이 무더우면 이로 인한 탈수로 나트륨 저류(retention)가 과다해져 평생 염분이 많은 음식 맛에 길들여지면서 고혈압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로울로 박사는 이는 심한 탈수에 대비해 나트륨과 물을 보존하려는 일종의 자연도태(적자생존) 현상이지만 현대 사회생활에서는 환경 조건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나트륨 저류가 오히려 혈압 상승 같은 부작용을 낳게 된다고 말했다.
로울로 박사는 20세기 초에 태어난 영국인 여성 39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분석 결과 출생 첫 해에 가장 뜨겁고 건조한 여름을 겪었던 사람은 비교적 서늘하고 비가 많은 여름을 지낸 사람에 비해 설사와 탈수를 겪었을 가능성이 높고 나중 성인이 되었을 때 고혈압 환자가 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06-04-25
http://www.metroseoul.co.kr/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